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지도학습
- 테스트세트
- LENGTH_INDEFINITE
- CSS
- 머신러닝
- apapter
- 데이터 전처릴
- fit메소드
- kneighbors()
- 버튼 상속
- K최근접이웃 회귀
- 픽셀 깨짐
- 선택자 조건
- position
- JavaScript
- 훈련세트
- Absolute
- 메모리 객체화
- score메소드
- 스크롤뷰
- relative
- hover
- 스낵바
- 레이아웃
- 외부css
- predict메소드
- 넘파이
- 웹사이트 공개
- HTML
- 표준화 z
- Today
- Total
목록웹개발(JAVASCRIPT)프로젝트-챗봇만들기 (9)
베짱이와 노는 개미
오늘은 웹개발에 있어서 javascript를 배우는 목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이벤트"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이벤트는 웹페이지에 살아있는 느낌의 효과를 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보자면 우리가 html로 만든 버튼을 눌렀을때 경고창을 띄우는걸 생각해볼수있다. click me 이렇게 html로 만든 버튼이 있고 var n = 0; function click_event() { n++; alert(n + "번 클릭하였습니다."); } javascript로 alert 함수를 선언해주면 html에서 짜준 clickme라는 버튼과 연결을 했을때 alert창이 뜨는것이다. 이렇게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어떠한 기능이 발동되는것을 이벤트라고 하고 위의 코드들은 버튼의 기능을 클릭으로 발동하게끔 한 것이다. 위의 코드처..
오늘은 javascript에서 '객체'라는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java나 c++같은 언어를 배워봤다면 객체가 무엇인지 조금은 알 수도 있다. 자바로 예를 들자면 하나의 클래스에서 만들어진 객체는 각각의 특정적인 데이터들을 가지는 집합이다. 예를 들어 Dog이라는 클래스안에 name, age의 변수를 포함시킨 상태에서 jindo라는 객체를 만들면 jindo라는 객체에는 name과 age에 특정값을 가지는 상태로 탄생된것이다. 즉 class=틀 , 객체=특정값을가지는 틀의 자식들 이라고 이해하면 될것같다.(자식이라고 해서 상속은 아니다) javascript에서의 객체도 특정 데이터를 갖는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var dog = { name : "댕댕이" , age : 1, family : "치와와" ..
오늘은 javascript로 조건문과 반복문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1.조건문(switch문/if~else문) 조건문은 조건에 충족할때만 읽히는 문장이다 즉 경우의 수가 생기게된다. 그 종류로는 if-else구문, switch문이 있다. if~else문 말그대로 만약~~하다면(조건문에 충족한다면) 실행해라 라는 뜻이다. var i = 5; if (i > 5){ console.log("yes"); } else if(i
연산자란 프로그래밍언어로 수학적 연산을 도와주는 키워드 라고 생각하면 될것같다. 연산자에는 5가지 종류가 있다. 산술, 대입, 증감, 비교, 논리 연산자 이다. 1. 산술연산자 사칙연산을 다루는 연산자이다. + - * / % 가 있다. +는 더하기 -는 뺴기 *는 곱하기 /는 나누기 %는 나눈결과 몫 을 계산해준다 2. 대입연산자 =이다. var x=10; 이라고 하면 x와 10은 같다 라는 의미 보다 x에 10을 대입한다라는 의미로 이해해야한다. 대입연산자=는 산술연산자와 함께 쓰일수 있는데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x+=10 이렇게 같이 쓰면 x=x+10과 같다 즉, x에 10을 더해서 다시 x에 대입한다. 라는뜻이다 x=x+10이라고 써도 되지만 간단하게 x+=10이라고 쓴다 x-=10 x*=10 x..